MZ세대 뜻, 나이, 특징 등. 어떤 세대일까?

반응형

요즘 MZ세대라는 단어가 많이 눈에 띄고 있습니다

X세대, Y세대 등은 들어보았는데 MZ세대는 익숙지 않죠.

그래서 이 MZ세대의 뜻과 어떤 나이대인지, 그리고 특징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MZ세대 뜻

  • 밀레니얼(Millennial) 세대 + Z 세대
  • 밀레니얼 세대 : 1980년대 초반 ~ 2000년대 초반에 태어난 세대
  • `Z 세대 : 1990년대 중반 ~ 2000년대 초반에 태어난 세대
  • MZ세대 : 10대 후반 ~ 30대 청년층

 

밀레니얼 세대

X세대 다음의 세대로, Y세대라고도 불립니다.

 

1980년 초반 ~ 2000년대 초반 출생자들로, 아날로그 시대부터 시작해서 디지털 시대로의 변화 과정(과도기)을 겪은 세대입니다.

때문에 인터넷 활용이나 SNS 사용에 굉장히 능통하죠.
덕분에 IT기술에도 능통하고, 또한 대학 진학률이 높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아무래도 이전 세대에서 높아진 교육열 때문이지 않을까 싶네요.

 

또 다른 특징이라면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에 사회에 진출했기 때문에 고용 감소나 일자리 저하 등의 어려움을 직접 겪은 세대입니다.
이 떄문에 결혼이나 자가 구입을 미루는 경향이 크죠.

 

 

Z세대

밀레니얼 세대의 뒤를 잇는 세대입니다.

 

Z세대의 사람들은 어릴 때부터 디지털 환경에 노출되어 자라죠.
교육이나 취미도 영상으로 대체하고, 아주 어릴 때부터 태블릿이나 스마트폰 등으로 유튜브를 시청하며 자랍니다.

때문에 인터넷, 전자기기와 굉장히 친숙하고, 텍스트보다는 이미지나 동영상을 더 선호합니다.

그리고 SNS로 인한 일상 공유 및 콘텐츠 생산이 굉장히 자연스럽죠.

 

 

MZ세대

MZ세대는 밀레니얼 세대 앞 자리의 M과, Z세대의 Z를 하나씩 섞어서 만든 세대입니다.

즉, 두 세대의 중간점이라 할 수 있죠.
때문에 두 세대의 특성이 모두 합쳐져 있습니다.

모바일 기기 및 인터넷 환경을 굉장히 자유롭게 하고 있으며, 이용자도 굉장히 많죠.

 

실제로 유튜브 댓글이나 구독자가 많은 유튜버를 보면 이 MZ 세대 비율이 높은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물론 이 때문에 약간의 사회적 문제가 되기도 하죠.

 

 

하지만 바꿔말하면 SNS나 영상 플랫폼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소비 주체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이런 문화를 경험하거나 받아들이지 못하면 결국 시대의 흐름에 뒤쳐질 수 있는 것이죠.

 

 

 

 

MZ세대 특징

1. 트렌드에 민감하면서 자신을 중시함

최신 트렌드를 따릅니다.
하지만 독창적인 것도 굉장히 중시하죠.

때문에 자신이 좋아하는 것에 쓰는 돈이나 시간을 아까워하지 않습니다.
이전에 유행했던 욜로족을 연상시키지만, '의미 있는'것에 돈을 쓴다는 점이 다르죠.

 

그냥 물건을 구매만 하는 것이 아니라, 본인이 뭔가를 추가해서 꾸미는 '다이어리 꾸미기 (다꾸)', 핸드폰이나 볼펜 등에 하는 각인 및 스티커 등의 소비가 많이 늘어나고 있죠.

즉, 자신이 소유한 물건에 의미를 담거나, 의미를 담고 있는 물건 등을 찾는 모습이 많습니다.
이 일환으로 각인 회사가 늘어나고 있는 것도 확인할 수 있죠.

 

2. 미래 중시

이는 '투자'에 한정됩니다.

특히 주식이나 코인에는 대출을 받아서 투자하는 일명 '영끌 투자'가 유행하기도 했죠.
그래서 대박이 나기도, 정말 나락으로 가기도 합니다.

 

이 뿐 아니라 근무하려는 회사를 정할 때에도 영향을 줍니다.

지금 잘 나가는 회사도 좋긴 하지만, 그보다는 성장 가능성이 있는 회사에 가고 싶어 하는 경향이 크죠.

 

 

 

3. 자신만의 시간 필요

이전처럼 돈을 아무리 많이 준다고 해도, 주말 근무나 야근이 많으면 그런 회사는 또 기피하는 경향도 있습니다.
나만의 시간이 필요한 것이죠.

 

어떻게 보면 감정적인 사람이 많아졌다고도 볼 수 있는데, 이는 여러 문화들에서 나타납니다.

다른 사람과의 소통을 어려워하는 인원의 비율도 많고, 본인이 원하는 것은 꼭 이뤄야 직성이 풀리는 사람도 많죠.

물론 장점도 있습니다.
소위 말하는 '꼰대 문화', '부조리' 등이 사라지는 데에도 많은 영향을 주고 있죠.

하지만 이게 과해지면 사회 생활도 불편해하고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경향도 있습니다.

 

4. 영상에 익숙

텍스트 형식의 정보 전달보다는 음성 및 영상을 활용한 정보 전달에 익숙합니다.

하지만 정도가 심해져서 글이 길어지면 잘 읽지 않는 사람들도 있죠.

때문에 유튜브나 아프리카 TV, 트위치 등 영상 플랫폼들의 가파른 성장에는 이런 MZ세대의 역할도 한몫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실제로 이 것들에 돈을 많이 사용하기도 하고요.

또한 일상을 유튜브나 트위터 등에 올리는 사람들도 많고 자연스러워졌죠.

 

 

뿐만 아니라 넷플릭스, 틱톡 등의 플랫폼에도 엄청난 영향력을 행사합니다.

사람이 몰리는 곳에 돈이 있다는 말도 있으니, 이런 부분으로의 사업도 활발히 이루어졌습니다.
특히 SNS에서의 마케팅 광고가 굉장히 많은 것도 이 때문이죠.

반응형